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backend
- cache
- 연관관계
- 개발
- 백엔드
- 집합관계
- caching
- 서버개발
- Spring
- redis
- 웹
- 봇
- Web
- spring data jpa
- 코딩
- 프로그래밍
- 다자인패턴
- 객체지향
- jpa
- 디자인패턴
- 자바
- IT
- 클래스다이어그램
- 의존관계
- Sprign
- 웹개발
- OOP
- 전략패턴
- java
- Programming
- Today
- Total
목록도서/혼자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+ 운영체제 (3)
괴발나라

CPU는 ALU, 제어장치, 레지스터로 구성됩니다. ALU는 한국어 번역하면 산술논리연산장치이며 이름 그대로 산술 연산,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. 예를 들어 1+2 를 계산하고 3이라는 결과를 냅니다. 제어장치는 제어신호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합니다. 예를 들어 ALU에 "더하라" 라는 제어신호를 보내 ALU가 더하는 일을 하도록 합니다. 레지스터는 CPU 내부의 저장장치입니다. 예를 들어 ALU가 연산을 수행할때 그 피연산자들이 레지스터에 저장됩니다. ALU - 받아들이는 정보 - ALU로부터 오는 제어신호 -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된 피연산자 - 내보내는 정보 - 연산의 결과 - 숫자, 문자, 메모리 주소 - 플래그 - 부호, 제로, 캐리, 오버플로우, 인터럽트, 슈퍼바이저 플래그 예시) ALU가 제어장치..

명령어 구조 - 연산코드 필드: 연산 명령어가 담기는 부분 - ex) 더해라, 빼라, 데이터 저장해라, 데이터 불러와라 등 - 오퍼랜드 필드: 연산 대상이 담기는 부분 - ex) 데이터, 메모리 주소, 레지스터 주소 - 구조 예시 - [ 연산코드 | 오퍼랜드 | 오퍼랜드 ] -> "add eax, edx" - 오퍼랜드는 0개 ~ 여러개까지 있을 수 있음.. * 일반적으로 피연산 데이터를 직접 오퍼랜드 필드에 담지 않고 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저장함. - 왜 ? -> 오퍼랜드 필드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너무 작음.. 그래서 데이터를 따로 저장해놓고 그 주소의 위치를 담음. -> 이 주소. 즉, 피연산 데이터가 담긴 저장장치의 주소를 "유효주소"라고 함. 주소 지정 방식 - 주소 지정 방식은 오..

서론 : ASCII는 문자집합이고 EUC-KR은 KS X 1001 과 KS X 1003 이라는 문자집합을 기반으로 하는 인코딩 방식이며 UTF-8은 UNICODE라는 문자집합을 기반으로 하는 인코딩 방식임 문자 집합 - 개념: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들의 모음 - 종류: ASCII, UNICODE, KS X 1001 ... - 인코딩: 문자 집합을 이진수로 변환 ->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음 - 인코딩 방식: EUC-KR, UTF-8, UTF-16 ... - 디코딩: 이진수를 문자 집합으로 변환 -> 사람이 이해할 수 있음 ASCII 문자 집합 - 영어, 아라비아 숫자, 일부 특수문자 표현 가능 - 2의 7승, 즉 128개 문자만 포함함. 한글도 없음..; - 코드 포인트 (글자에 부여된 숫자. 예..